본문 바로가기

유학일기

호주 유학일기 11 - Lab report 쓰기 (feat. 유튜브)

본격적으로 유튜브 시작하기 전에 짧게 영상 찍어 본 get study with me ㅋㅋㅋㅋㅋㅋ

중간고사 기간에 해 뜨는 거 보면서 공부하는 일출 공부법ㅋㅋㅋㅋ자막 입히는 게 생각보다 오래 걸리는 것 같긴 하지만 유튜브 도전,,,!

이번 중간고사는 Lab report 제출 마감기간 하고도 겹쳐서 유독 정신이 없었다.

한국에서 대학교 다닐 때도 제일 싫어했던 실험 레포트(Laboratory report)를 또 쓰게 되다니,,,

실험 주제에 따라 약간씩 다르겠지만 포괄적인 Lab report 구성법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목차

Lab report 구성은 크게 Abstract(요약), Introduction(서론), Method(실험 방법), Results(결과), Discussion(결과 분석 및 토론), References(레퍼런싱)로 나뉜다.

교수님마다 다르지만 중요도를 나누자면 Results⭐>Discussion⭐>Introduction⭐>Abstract>Reference>Method 순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Abstract도 개요 같고, Introduction도 개요 같은데 둘의 차이점은 Abstract가 더 포괄적인 내용을 간략하게 표현한다는 점이다.

Abstract는 보고서의 Introduction에서부터 Experiment, Results, Discussion까지 모든 내용한 단락요약한다.
(교수님 말로는 이것만 읽어도 무슨 실험을 했고 어떤 결과가 나왔는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고)

이와 다르게 Introduction서론 파트로 실험의 목표나 실험과 관련된 기본적인 배경 원리만 서술하는 부분이다.

1) Abstract

- Brief summary (Background, Purpose of the experiment, Method, Results, Conclusion)

실험 리포트의 전체 분량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대부분 한 문단을 넘어가지 않는다. 각각의 목차에서 중요한 한 두 문장만 뽑아서 요약하듯이 정리해놓으면 된다.

2) Introduction

-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experiment
- Specific purpose of the experiment
- What knowledge already exists about this subject
- Summary of the experimental method

이 실험을 진행하는 목표는 무엇인지, 실험과 관련된 배경 지식은 무엇인지를 작성하면 된다.

만약 내가 어떤 새로운 가설을 세워서 그게 맞는지 확인해보려고 실험을 하는 거라면, 기존의 논문들이나 가설들은 ~이렇게 말하는데 나는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어서 이걸 확인해보고 싶어서 실험한다, 이런 식.

3) Experiment

- Brief summary of how the experiment

실험 방법 파트, 대부분 교수님들이 실험 방법 부분을 길게 써서 분량을 채우는 걸 안 좋아하기 때문에 이 부분도 간단하게 작성하는 게 좋다.

4) Results

- Description of the results

[출처] 내 lab report

실험 결과가 어떻게 나왔는지 설명하면 된다. (⭐여기서는 결과만 설명하고,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지에 대한 추론이나 생각은 Discussion파트에 작성해야 함)

Table이나 Figure, Graph 도식화해서 설명하면 좋고,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표나 그래프에서 특히 중요한 파트는 강조해주면 된다.

5) Discussion

- Explain the results, analyse it with details

가장 공들여야 하는 파트⭐.... 실험 결과(수치)가 이렇게 나왔는지 설명하고 Introduction에서 세웠던 실험 목표가정과 비슷하게 혹은 다르게 나왔는지 비교해서 적는다.

특히, 다르게 나왔을 경우 왜 가정과 다르게 나왔는지, 어떤 요소가 결과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적어주면 되고 이 discussion을 뒷받침해주는 근거로 논문 폭풍 검색⭐해서 작성해주면 된다.

논문 검색할 때 Google scholar학교 도서관 홈페이지를 이용하는데, ⭐(peer) review articles로 설정해 놓아야 검증된 논문들이 많이 나온다.

6) References

- Reference list (APA7 format)

교수님마다 채택하는레퍼런싱 스타일(APA, Harvard, MLA,,,,)에 맞게 레퍼런스 목록을 작성하면 된다.

💜APA7 Reference 작성법은 아래 글 참고💜
2021.10.28 - 에세이 과제 Reference 작성법(APA 7 style)

 

에세이 과제 Reference 작성법(APA 7 style)

어제 Anatomy&Physiology 1 기말고사를 마지막으로, 드디어 1학년 1학기(Trimester 2)가 끝났다!!!!!! 종강 기념으로 이번 학기에서 가장 신경 쓰였고 시간이 오래 걸렸던 에세이 참고문헌(Reference)작성법에

everyday3friday13.tistory.com


논문 검색하느라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렸지만 그래도 이번 학기에는 Lab report 제출이 하나밖에 없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했다...😭이상으로 Lab report 작성법 포스팅 끝!